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프랑스 오랑주 TV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새로운 철학 읽기 바람을 불러일으킨 스튜디오 필로의 철학 강의 ‘시네필로’의 핵심 내용을 모아 출간한 것으로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철학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철학을 어려워하는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특히 젊은이들이 가장 친근하게 소비하는 예술이 영화라는 점에 착안, 영화를 통해 철학을 설명하고 철학을 통해 영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Lecture 1 의지의 사용법 : 모르면서 어떻게 행동할 수 있을까?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는 생각을 하지마라: 행동의 철학자 데카르트 씨의 행동 원칙 무언가를 선택한다는 것의 의미: 중국 음식점 증후군 욕망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 <파이트 클럽>의 편의점에서 생긴 일 달리기든 철학이든 행동의 비결은 시작하는 것: <포레스트 검프>의 의지가 위대한 이유 생각하는 것, 그것은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 무하마드 알리, 의지를 인간적으로 사용하는 법 데카르트를 읽은 살인청부업자: 제대로 사고하기 위한 방법의 원칙들 Lecture 2 의심의 사용법 : 의심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까? 정신의 눈으로 현실을 의심하는 법: <매트릭스>의 네오의 자각 데카르트, 디지털 사회의 예고자: 공간 속의 기하학, '가상현실'의 원리 매트릭스 코드, 외관 뒤에 숨겨진 현실: 우리는 가상의 세계를 살고 있다 영화는 우리를 신으로 만들어준다: 불릿 타임, 순수한 의지의 세상으로의 초대 Lecture 3 자유의 사용법 : 내가 자유롭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네가 의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라 : 네오의 데카르트적 믿음의 선언 모든 건 선택에서 시작된다: 필연과 운명을 넘어서 무능함은 우리의 행동조건이다: <베를린 천사의 시>의 천사들의 삶이 지루한 이유 의지로 세계를 만든다: 데카르트의 신 vs 라이프니츠의 신 Lecture 4 정념의 사용법 : 행복할 때 사고가 더 활발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변화된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정념의 미묘한 역학 무기력한 레스터, 인생의 주도권을 찾다: <아메리칸 뷰티>의 '첫눈에 반하기' 요법 흐릿함 속에 비밀이 숨어있다: 영화, 정념의 시뮬레이터 상상과 픽션으로 건강해진다: 데카르트가 말하는 환상의 올바른 사용법 Lecture 5 고매함의 사용법 : 우리를 진정 인간으로 만들어 주는 것은 무엇일까? 고매함이란 자기 자신에게 자유를 주는 것: 자유는 오직 사용할 때만 존재한다 철학을 하려면 친구가 필요하다: 우리를 진정 인간으로 만들어주는 것에 관하여 자신이 원하는 인생을 선택한 사람: 개인은 어떻게 인간적 고매함을 획득할 수 있을까? Lecture 6 만남의 사용법 :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기쁨을 발견할 수 있을까? 능동적 인간과 수동적 인간: 정신과 육체의 평행관계에 주목한 스피노자 질투는 어떻게 인간을 수동적으로 만들까?: 질투라는 의존성의 감옥에서 벗어나는 법 정신의 구원은 어디로 부터 올까?: <엑스맨>의 윤리- 증오와 슬픔이 정당화 될 수 없는 이유 자신의 고유성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을까?: 사각형이 되고 싶은 삼각형 Lecture 7 모방의 사용법 : 자기 자신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감정의 모방을 어떻게 활용할까?: <베를린 천사의 시>의 천사가 일으킨 반전 진정으로 욕망할 수 있을까?: 코넬리우스의 홈쇼핑 중독, 모방에 대한 모방 희망의 포기가 주는 유익: 철학자의 만족과 술주정뱅이의 만족 철학은 언제나 우리가 원하는 만큼 있다: 이성의 긍정적 소용돌이 Lecture 8 의식의 사용법 : 현실을 직시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정신을 부여받은 복제인간: <블레이드 러너>의 복제인간의 딜레마 존재란 자신의 존재를 지속시키려는 노력이다: 정신은 자신의 노력을 의식한다 인간은 모르는 것을 욕망한다: <욕망의 모호한 대상>의 X의 의미 죽지 않고는 삶을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일까?: <파이트 클럽>의 코넬리우스의 결단 Lecture 9 상상력의 사용법 : 상상력은 우리를 어디로 인도할까? 영화, 선택해서 꾸는 백일몽: 상상력의 두 가지 사용법 우리를 둘러싼 이미지는 감정을 만들어낸다: <블레이드 러너>의 유니콘이 암시하는 것 상상과 정신의 오류: <식스 센스>의 맬컴, 진실을 모른 척하고 살아가기 Lecture 10 인식의 사용법 : 순간을 영원처럼 사는 법이 있을까? 인간은 시간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특근>의 좋은 시간과 나쁜 시간 시간과의 관계를 변화시키다: <하이랜더>의 불사신이 배운 것 최초의 영원성은 뭔가를 이해하는 것: 수학, 완전한 사유의 첫걸음 의지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소림사에서 만난, 스피노자의 세 가지 인식 어떻게 영원의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을까?: <씬 레드 라인>의 명상이 보여주는 것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스튜디오 필로, 영화와 철학이 만나다 이 책에 소개된 영화목록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춤은 말한다  = (The) semiotics of dance & languages in the art  : 기호의 세계와 춤의 언어들 춤은 말한다 = (The) semiotics of dance & languages in the art : 기호의 세계와 춤의 언어들 2010 / 김지원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현대무용사의 인물들 한국현대무용사의 인물들 2002 / 문애령 대담 / 눈빛
춤의 美學과 교육 춤의 美學과 교육 1999 / 김태원 지음 / 현대미학사
춤의 전통과 정신 춤의 전통과 정신 2010 / 성기숙 지음 / 민속원
韓國의 傳統춤 韓國의 傳統춤 1999 / 鄭昞浩 著 / 集文堂
텔레비젼 무대 디자인 텔레비젼 무대 디자인 1995 / G.밀러슨 ; 윤정섭 공편 / 나남출판
영화학, 어떻게 할 것인가 영화학, 어떻게 할 것인가 1992 / J. 오몽...[등]저 ; 강한섭 옮김 / 열린책들
스튜디오 필로, 철학이 젊음에 답하다  = Studio philo 스튜디오 필로, 철학이 젊음에 답하다 = Studio philo 2010 / 올리비에 푸리올 지음 ; 윤미연 옮김 / 푸른숲
아바타 인문학  : 인문학, 영화관에서 색안경을 쓰다 아바타 인문학 : 인문학, 영화관에서 색안경을 쓰다 2010 / 최정우 외 지음 / 자음과모음
철학극장, 욕망하는 영화기계 철학극장, 욕망하는 영화기계 2002 / 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 지음 / 소명출판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 Philosophy + film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 Philosophy + film 2007 / 이왕주 지음 / 효형출판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2010 / 정여울 지음 / 자음과모음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2010 / 정여울 지음 / 자음과모음
영화, 어떻게 쓸까? : 영화 읽고 글로 표현하기 영화, 어떻게 쓸까? : 영화 읽고 글로 표현하기 2011 / 티모시 코리건 지음 ; 이권 옮김 / 비즈앤비즈
세속적 영화, 세속적 비평 세속적 영화, 세속적 비평 2010 / 허문영 지음 / 강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CEO의 서재  : 경영은 인문정신의 예술이다 CEO의 서재 : 경영은 인문정신의 예술이다 2012 / 한정원 글 ; 전영건 사진 / 행성비
나는 결코 세상에 순종할 수 없다 나는 결코 세상에 순종할 수 없다 2015 / 이외수 지음 / 해냄
지지 않는다는 말  : 김연수 산문집 지지 않는다는 말 : 김연수 산문집 2012 / 지은이: 김연수 / 마음의 숲
경제학 카운슬링 : 심리학자도 훔치고 싶은 경제학자의 명쾌한 인생 솔루션 경제학 카운슬링 : 심리학자도 훔치고 싶은 경제학자의 명쾌한 인생 솔루션 2010 / 팀 하포드 지음 ;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소녀를 사랑하는 방법 : 헤일리 태너 장편소설 소녀를 사랑하는 방법 : 헤일리 태너 장편소설 2015 / 헤일리 태너 지음 ; 김지현 옮김 / 비채
천사의 알 천사의 알 2006 / 무라야마 유카 지음 ; 양윤옥 옮김 / 소담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 이동진 영화평론집 2019~1999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 이동진 영화평론집 2019~1999 2019 / 지음: 이동진 / 위즈덤하우스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 Chosun cinema and Hollywood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 Chosun cinema and Hollywood 2014 / 연구모임 시네마바벨 편 / 소명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 Asian documentary today : 허구가 아닌 현실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 Asian documentary today : 허구가 아닌 현실 2013 / 아시아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편저 / 본북스
영화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 영화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 2018 / 지은이: 변영주 / 창비
영화를 바라보다 : 할리우드 영화의 돈과 정치 이야기 영화를 바라보다 : 할리우드 영화의 돈과 정치 이야기 2014 / 김화진 지음 / 휴먼큐브
영화가 부모에게 답하다 : 청소년과 부모가 영화로 소통하는 인문학 이야기 영화가 부모에게 답하다 : 청소년과 부모가 영화로 소통하는 인문학 이야기 2014 / 최하진 지음 / 국민
영화 비평 : 이론과 실제 영화 비평 : 이론과 실제 2019 / 지음: 강성률 / 아모르문디
필름, 뉴욕 : 영화로 만나는 도시 필름, 뉴욕 : 영화로 만나는 도시 2014 / 스콧 조던 해리스 지음 ; 채윤 옮김 / 낭만북스
허구가 아닌 현실 = Asian Documentary Today :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허구가 아닌 현실 = Asian Documentary Today :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2012 / 아시아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편저 / 본북스
잊혀진 중앙아시아의 뉴웨이브 영화 = (The)unknown new wave of Central Asian cinema 잊혀진 중앙아시아의 뉴웨이브 영화 = (The)unknown new wave of Central Asian cinema 2013 / 부산국제영화제 편저 / 본북스
렌즈 속의 인류 : 민족지영화와 그 거장들 렌즈 속의 인류 : 민족지영화와 그 거장들 2014 / 이기중 지음 / 눌민
씨네샹떼 : 세계 영화사의 걸작 25편, 두 개의 시선, 또 하나의 미래 씨네샹떼 : 세계 영화사의 걸작 25편, 두 개의 시선, 또 하나의 미래 2015 / 강신주, 이상용 지음 / 민음사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 cinema+philosophy. 1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 cinema+philosophy. 1 2010 / 정여울 / 자음과모음
영상으로 읽는 미국문화의 안과 밖 영상으로 읽는 미국문화의 안과 밖 2013 / 백승진 지음 / 경상대학교 출판부
영화 읽어주는 인문학 영화 읽어주는 인문학 2014 / 안용태 지음 / 생각의길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