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1 근대화와 침략의 두 얼굴- 철도 지식의 전래와 중국철도의 탄생 : 吳淞鐵道 (1876)
서론
1. 근대 철도 지식의 전래와 철도 부설론의 등장
2. 오송철도에 대한 관민의 상이한 대응
3. 철도 부설 논쟁과 중국철도의 초보적 발전
결론
2 철도를 통해 세력을 확장한 러시아- 러시아의 동방정책과 중러관계의 변화 : 東淸鐵道 (1895)
서론
1.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중국 관동철도
2. 청일전쟁과 중국의 전시외교
3. 삼국간섭과 일본의 대응
4. 청러밀약과 동청철도 부설권
5. 요동반도 조차와 중러관계의 변화
결론
3 일본은 왜 간도협약을 체결하였나- 간도협약과 일본, 러시아, 중국 그리고 조선 : 吉會鐵道 (1910)
서론
1. 동청철도에 대한 일본의 인식
2. 간도협약과 일본의 만주철도 부설권 획득
3. 吉長, 吉敦, 敦圖鐵道와 길회철도의 완성
4. 길회철도 부설에 대한 중국관민의 대응
5. 북선 종단항의 설정과 동청철도의 매입
결론
4 부산에서 만주에 이르는 직행열차- 한반도-만주 직통철도와 일화배척운동 : 安奉鐵道 (1911)
서론
1. 한반도 종관철도와 안봉철도
2. 안봉철도 개축에 관한 중일협상
3. 안봉철도와 일화배척운동
결론
5 새로운 철도가 시장을 변화시키다- 철도 부설과 중국동북시장의 변화: 安奉鐵道 (1911)
서론
1. 안봉철도 부설과 압록강철교의 가설
2. 철도운송화물에 대한 국경관세의 경감
3. 3선연락운임제와 물류 유통의 변화
결론
6 철도를 통해 중국을 지배한다- 열강의 중국철도 공동관리안과 북경군벌정부 : 川漢鐵道 (1920)
서론
1. 열강의 중국철도 분할과 사천보로운동
2. 일본의 팽창과 철도 공동관리안의 출현
3. 철도 공동관리안과 북경군벌정부
결론
7 세계를 놀라게한 중국발 열차강도사건- 열차강탈사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 津浦鐵道 (1925)
서론
1. 진포철도 연선지역의 旱災와 土匪의 발호
2. 임성사건에 대한 북경정부의 대응과 官匪 교섭
3. 철도관리안과 북경정부
결론
8 한국인의 눈에 비친 열차강도사건- 상해임시정부 여운형의 탐방기록 : 津浦鐵道 (1925)
서론
여운형 소개
탐방기록
9 소련의 세력 팽창을 저지한 동서횡단철도- 중국철도부의 설립과 서북개발의 의의 : 隴海鐵道 (1927)
서론
1. 중국철도의 전근대성과 철도이권회수운동
2. 소련의 土西鐵道와 신강문제
3. 남경국민정부 철도부의 설립
4. 철도 부설 정책과 롱해철도
5. 롱해철도와 서북개발
결론
10 철도 침략에는 철도 부설로 대항한다- 일본의 만주침략과 동북교통위원회 : 南滿洲鐵道 (1931)
서론
1. 철도자판운동과 남만주철도 병행선
2. 만철 병행선의 정치, 군사적 성격
3. 동북교통위원회와 호로도 축항
4. 일본의 동북 침략과 철도
결론
11 철도를 둘러싼 동북아 각국의 각축전- 중동철도 매각과 일본, 소련, 만주국, 그리고 중국 : 中東鐵道 (1935)
서론
1. 중소협정, 봉소협정과 중동철도의 성격 변화
2. 중국의 철도이권회수운동과 중동철도 매각론의 부상
3. 중동철도 매각협상과 중일소관계
4. 만주국 승인과 중동철도 매각과의 연관성
5. 매각가격의 협상과 결정
결론
12 소련은 왜 중동철도를 일본에 매각하였나- 신유통망의 형성과 만주시장의 변화 : 中東鐵道 (1935)
서론
1. 중동철도와 남만주철도, 길회철도의 상호관계
2. 중국 동북지역 상품유통망의 변화
3. 상품 운송량의 감소와 중동철도의 매각
결론
13 고속철도와 21세기 중국의 굴기- 환발해지역과 장강삼각주지역의 연계 : 京滬鐵道 (2011)
서론
1. 각국 고속철도의 발전과 중국철도의 현황
2. 경호고속철도 부설의 배경
3. 경호고속철도의 부설 계획
4. 경호고속철도의 경쟁력과 기대 효과
5. 경호고속철도의 개통과 중국경제의 발전
결론
참고문헌
사항색인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