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에티카
제1부 신에 대하여
부록
제2부 정신의 본성과 기원에 대하여
정리 49의 따름정리와 증명 및 주석―의지와 지성은 동일한 것이다
제3부 정서의 기원과 본성에 대하여
서문
제4부 인간의 예속 혹은 정서의 힘에 대하여
서문
부록
제5부 지성의 역량 혹은 인간의 자유에 대하여
서문
해제-자연 속에서 자유를 추구한 철학자 / 조현진
1. 데카르트를 넘어선 스피노자
(1) 실체의 문제
(2) 정신과 신체의 관계 문제
(3) 자유의 문제
2. 《에티카》는 무엇을 주장하고 있는가
(1) 신은 인격적 존재가 아니다―목적론과 의인론적 신관에 대한 비판
(2) 우리는 아는 만큼 긍정하고 긍정하는 만큼 안다―데카르트의 의지론 비판
ㄱ. 데카르트의 오류에 대한 설명 비판
ㄴ. 관념, 사물의 상, 개념의 구분
ㄷ. 가능한 반론과 그것에 대한 논박
(3) 인간은 자연의 일부다
(4) 만물은 자기 보존의 힘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동등하다
(5) 정념은 의지가 아니라 정신의 인식에 의해 치유될 수 있다
3. 《에티카》는 서양 사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1) 17세기 ― 무신론자 스피노자
ㄱ. 《신학-정치론》 비판
ㄴ. 실체의 통일성과 결정론
ㄷ. 스피노자 서클
(2) 18세기 ― 창조적인 오해의 시기
ㄱ. 범신론과 카발라주의
ㄴ. 전투적인 익명의 스피노자 추종자
ㄷ. 범신론 논쟁
(3) 19세기 ― 다양한 이미지의 공존
ㄱ. 독일 낭만주의자와 관념론자 ― 신에 취한 사람
ㄴ. 쇼펜하우어와 니체 ― 고행자로서의 스피노자
ㄷ.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4. 스피노자 사상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부록 ― 《에티카》 차례
주
용어 해설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