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생, 생명은 서로 돕는다 : 인간과 자연, 생명의 아름다운 공존
발행연도 - 2018 / 지은이: 요제프 H. 라이히홀프 ; 그린이: 요한 브란트슈테터 ; 옮긴이: 박병화 / 이랑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27115
-
ISBN
9788998746445
-
형태
367 p. 21 cm
-
한국십진분류
자연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카테고리분류
과학/기술
>
과학의 이해
>
과학 일반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자연에 사는 그 누구도 혼자만의 섬에서 살 수 없다. 들소에게는 새가, 아프리카 사바나에는 곤충이 필요하고, 평생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는 인간과 개의 관계에서도 ‘함께 살기’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 공생은 생명의 원칙이다
1. 꿀잡이새와 인간 - 인간 스스로 노동하게 만드는 새
2. 넓은 들판의 노루와 기러기 - 적으로부터 공동전선을 구축하다
3. 인간과 개 - 개는 어떻게 인간의 가장 가까운 친구가 되었나?
4. 소등쪼기새와 물소 - 경고의 울음소리를 들려주는 새
5. 까마귀와 늑대 - 교활한 새와 영리한 회색동물 간의 긴장 관계
6. 멧돼지와 송로버섯 - 돼지가 옮기는 버섯 포자
7. 열대의 호두나무는 ‘붉은궁둥이아구티’와 협동한다 - 씨를 보존하기 위한 공생
8. 열매나 식물은 왜 동물을 먹여 살리는가? - 단것에 끌리는 동물에 의해 전파되는 씨
9. 도도처럼 죽다 - 공생 파트너의 멸종으로 인한 공멸
10. 꽃과 곤충 - 인간과 벌, 장미과 식물의 공생이 사라지고 있다
11. 다윈의 박각시나방 - 박각시나방을 유혹하는 흰 꽃
12. 시계초 - 열대 세계에서 공생이 다양하게 일어나는 이유
13. 진기한 나무늘보의 생활 - 나무늘보의 털 속에 사는 애벌레와 나방
14. 가위개미 - 버섯 농사를 짓는 가위개미
15. 세입자로서의 개미 - 아카시아와 개미의 주거 공동체
16. 벌새와 꿀벌 그리고 브라가팅가-개각충 - 나무의 수액을 만드는 자와 소비하는 자
17. 난초 벌의 수수께끼 - 수컷 벌은 암컷 벌을 어떻게 유혹하는가?
18. 꽃이 필요한 유카나방 - 그리고 꽃이 나방을 필요로 할 때
19. 파인애플청개구리 - 파인애플에서 자라는 독성 개구리
20. 벌레잡이식물 - 동물과 육식식물의 상충되는 이해관계의 접점
21. 시체꽃 - 딱정벌레를 보호하는 거대한 꽃
22. 낯설고 기이한 뱅크시아 -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동식물 적응기
23. 도마뱀과 전갈 - 특이한 짝
24. 녹색 히드라 - 식물인가 동물인가?
25. 산호충 - 동물이 식물처럼 실행하는 공생
26. 산호초 속의 청소부 - 기생동물을 모방하는 가짜
27. 말미잘 - 특정 바다에서만 일어나는 공생
28. 이끼 - 단일 생명체로 착각하기 쉬운 균류와 조류의 연합
29. 섭금류와 악어 - 섭금류가 물가의 나무 위에 둥지를 짓는 이유는?
30. 떼베짜는새의 공동 주거 시설 - 다른 새의 둥지에 더부살이하는 새들
31. 도시와 농촌 - 가장 힘든 공생
글을 맺으며 - 즐거운 공생의 결과물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2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2 |
2025년 | 0 |